자격증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 안되시면 필독★ - 비전공자, 초대졸자 기준

Hanadul34 2020. 3. 14. 22:56


안녕하세요. 세상을 향하는 교육!

월드비전 에듀입니다.



오늘은 3월 9일 월요일!

주말은 다들 잘 보내셨나요~??



주말간에는 날씨가 화창하고 공기도 맑은게

정말 코로나 바이러스만 없었다면 오늘 같이 화창한날

마스크 없이 공원에 나가 마음껏 라이딩도 하면서 즐겼으면

좋으련만 얼마전부터 집밖으로 나가기가 다소 두렵네요.



이 답답함.. 여러분도 느끼고 계실까요?? ㅜ



정말 환경의 중요성이 세삼 또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나 미세먼지 등 여러 유해 물질들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어주는 공조냉동기계기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오늘 안내해드릴 내용의 목차입니다.







1. 먼저, 공조냉동기계기사 하는일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설명드렸 듯 공조냉동기계기사는 공기를 조화롭게 하는 일을 한다고 하여

공조라고 하는데요. 주로 활동하는 분야는 주거공간을 쾌적하게 하는 설비들을

다루며 주로 '에어컨, 냉동기, 냉난반 시스템, 제빙, 식품 저장 및 가공분야에서

두루 두루 활용이 됩니다.



덧붙여 최근에는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따라 위생적인 부분이나

근무지 내에 깨끗한 공기 유지 등 대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생긴만큼

앞으로 공조기술은 다른 기술과 병합하여 더 많은 곳에

쓰일 수 있는 분야의 자격증이 될 예정입니다.



아래의 사진 또한 이런 공조냉동기계기사의 지식과 여러 방면의 기술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획기적인 아이템 예시라고 볼 수 있겠네요. 공기중에 물을 마치 안개처럼 작은 입자로 뿌려

미세먼지를 잡아내어 땅으로 가라 앉치게끔 하는 기계입니다.






앞으로도 지구는 계속해서 오염되고 공기가 나빠져감에 따라 위와 같은

공조 기술들이 필요한 기계설비 들은 늘어날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실제로도 공조냉동기계기술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에어컨설비 및 청소 등인데

요즘엔 각 가구마다 3인 기준으로 에어컨 1대씩은 기본적으로 다 있기 때문에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취득 후에 에어컨 설비 등의 업무를 맡아 일을 하는 것만으로

밥 벌어 먹는데는 지장이 없으리라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다음은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 조건에는 다음의 3가지

자격 요건들이 가장 대표적인 것 들입니다.






1) 관련학과/동일직무학과 4년제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 신분


※ 관련학과 : 기계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건축설비학과, 건축설비자동학과,

냉동공조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학과(생산관리부문), 건설, 재료, 전기, 전자, 정보통신,

안전관리, 통신, 환경 및 에너지 관련 학과 등



2) 실무경력 4년 이상의 경력자


실무경력으로 인정되는 범위는 위의 관련학과, 동일직무분야와 같습니다.



3) 학점은행제 106학점




이렇게 3가지 입니다. 이렇게 3가지 이외에도 기능사 + 3년 경력,

동일분야의 기사 자격증 등 여러 방법들이 더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분들이

이런식으로 응시자격을 갖춥니다.




그런데 아마 1), 2) 이 두가지에 대해선 어느정도 알고 계시겠지만

3) 학점은행제 106학점 에 대해선 생소한 분들이 많이 계실것이라

생각되어 '학점은행제' 가 무엇인지 간략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 학점은행제로 응시자격 갖추는 방법



학점은행제는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은행에 적금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적금처럼 '학점' 을 '은행' 에 차곡 차곡 쌓아 일정학점이

모이면 돈대신 '졸업장' 을 주는 개념이지요.






이 학점은행제란 교육제도는 다양한 분들이 활용하고 있는 교육제도인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분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을 갖추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8번에 해당되시겠네요.



아무튼, 이 학점은행제에서 학점으로

인정되는 것들은 크게 4가지가 있는데



1) 온라인 수업 : 3학점

2) 자격증 : 자격증마다 인정학점이 다름

3) 독학사 : 과목 마다 4-5학점

4) 전적대 : 전에 다닌 대학교 학점 활용

(2년제 80학점, 3년제 120학점)






위의 4가지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106학점을

인정 받으면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원래 관련학과 4년제 졸업예정자인 분들의

기준이 4학년 1학기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이때 학생들이 보유한 학점이  대략 105학점이 되기 때문에

학점은행제에서도 106학점을 취득하면 관련학과 졸업예정자 신분으로

응시자격이 된다고 취급하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 내용은 관련 내용을 법으로 명시해놓은 것을

캡처해온 사진이오니 믿으셔도 되는 부분이랍니다 :)





여기까지 설명드렸으니 이제는 믿으실 수 있으실테고~~


다음은 실제 학생분들의 상황에 맞춰 학점은행제를

어떤식으로 진행하게 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전문대 졸업자의 경우 진행과정



네, 안녕하세요. 현재 2년제를 졸업하셨다면 학점인정 4가지 방법 중 하나인

'전적대 학점' 을 통해 최대 80학점까지 인정을 받고 나머지 26학점만

추가로 학점은행제에서 획득 하시면 됩니다.



26학점 따는 가장 쉬운 플렌에 대해 안내해드리자면


온라인 7과목 신청 : 21학점

자격증(CS리더스관리사) : 6학점


= 총 27학점으로 응시자격이 충족됩니다.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4개월입니다!







2) 4년제 졸업자의 경우 진행과정



안녕하세요! 4년제를 졸업하셨군요.


그렇다면 아쉽지만 전적대 학점을 통해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은 없습니다.

대신에 4년제를 졸업하셨으니 '타전공 학사학위' 라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세요.



이 과정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원래 4년제 졸업장을 딸 때

필요한 학점이 140학점입니다. 하지만 타전공 학사과정에선

관련 전공으로 48학점만 따면 4년제 졸업장을 주는 복수전공 같은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래 기사 자격증을 따려면 4년제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 신분이여야

가능하기 떄문에 학점은행제에서 최소 106학점을 따야 하는것이지만

이미 4년제 대학교 졸업장이 있다면, 소정의 학점만 이수하는것으로

관련학과 졸업자의 신분이 되게 되는 것이지요~!



여기까지 이해되셨다면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온라인 수업 7과목 : 21학점

독학사 2과목 : 10학점

자격증(매경테스트) : 18학점



= 총 49 학점으로 응시자격이 충족됩니다.

이 과정 또한 소요기간은 약 4개월 입니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학점은행제에 관련해서

자주 묻는 대표질문 2가지에 대해 이야기 해드리고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4. 자주묻는 질문 정리







네, 이렇게해서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이 부족한 4년제 비전공자 분들이나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를 활용하여


공조냉동기게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그렇다면 추천 한번씩 부탁드릴게요 ~~



참고로 저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국가기술 시험 응시자격을

갖추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방향을 잡아드리면서

시험 준비를 도와드리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위의 포스팅 관련해서 궁금하신점, 이해가 잘 안되시는 점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아래의 방법 중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주세요.



궁금하신점 신속히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상담은 무료 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