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하는일 알아보기 !! - 비전공자 필독

 

 

안녕하세요~! 월드비전 입니다.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가 참 극성이지요 ? ㅠㅠ..

 

 

그 때문인지 요즘은 학교도 개학이 미뤄지고

학원이나 심지어 회사마저도 자택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언제쯤 이 비상사태가 풀리게 될지 걱정이 큽니다.

모쪼록 여러분께선 마스크 꼭 착용하고 다니시고,

손세정제 자주 사용해서 몸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아쿠튼, 오늘은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뿐만 아니라

전기산업기사 하는 일, 시험과목 등에 대해서도

 

함께 알려드리고자 하니 모쪼록 많은 정보 얻어가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전기산업기사 하는일

- 전기산업기사 시험과목

-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 학점은행제 설명

- 자주묻는 질문 정리


1. 전기산업기사 하는일

21세기에 있어 전기는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 있어서도

 

빼놓지 못할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실제로 전기가 잠깐이라도 나갈 경우 그 동안에 생기게 되는 피해만 하더라도

 

돈으로 환산하면 수 십억, 수백억 대 손실이라고 합니다.

 

 

작년 맨허튼에서도 13일에 '블랙아웃 ; 대정전사태' 가

일어나서 입은 피해액만 하더라도 약 3억 1,000만 달러에

달한다고 하니 전기 없는 삶은 이제 상상할 수 없는 지경입니다.

 

 

하지만 이 처럼 장점이 있다면 단점이 있겠지요??

 

 

우리 생활에 매우 유용한 전기는 자칫하면 사람의 목숨을

순식간에 뺏어갈 정도로 위험한 자원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생활에 편하게 전기를

이용하기 위해선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답니다.

 

 

전기를 합리적으로 활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부에선 전기산업기사 라는 자격증을 만들어

 

 

각 종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을 맡아 하고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기자재의 규격, 크기, 용량 등을 산정하여

도면을 만들거나 시방서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전기에 빠삭한 기술직 종사자분 들이 있기 때문이랍니다 :)

 

 

그럼 이러한 전기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선

어떤 자격조건들이 필요한지 한번 알아볼까요??

 


 

#2.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조건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 3가지 방법을 통해 갖추거나 합니다.

 

 

- 관련 전공학과 2년제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

 

- 관련 실무경력 2년 이상의 경력자

 

- 유사직무 분야의 산업기사자격증

 

 

이렇게 3가지 방법을 통해 응시자격을 갖추는 방법'만'을

알고 계신데 만약 본인이 대학교를 졸업하지 않았고

별도로 현장일을 한 경험도 없는 상태인 분들이라면

 

 

'어떻게 응시자격을 갖추는게 좋을까요??'

 

 

대학교를 다시다닌다? 실무경력을 이제부터라도 쌓기위해

하던 일을 포기하고 현장에서 근무를 시작한다?

 

솔직히 말이 안되지요~?

 

정답은 바로

'학점은행제 41학점'

입니다!

 

 

지금부터 학점은행제가 어떤 건지 설명해드릴게요.

 

 

3. 학점은행제 개념설명

학점은행제는 국가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시스템으로 학교 수업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활동들을 '학점' 으로 인정받고 일정학점이

되면 대학교 졸업장(학위)를 주는 제도인데요.

 

 

쉽게 이해하려면 은행에 적금을 생각하면 되요.

 

우리가 은행에 1년 동안 적금을 들면 이율을 받잖아요?

 

학점은행제는 돈을 저축하는게 아니라 '학점' 을 저축해서

 

 

80학점이 되면 2년제 학위를 주고

140학점이 되면 4년제 학위를 주는 식입니다.

 

 

일반적으로 학점으로 인정받는 활동들은 4가지가 있습니다.

 

 

1. 온라인 수업 : 3학점

2. 독학사(대학교 검정고시) : 4-5학점

3. 자격증 : 자격증마다 인정학점이 다름

4. 전적대 : 전에 다녔던 대학교 학점을 활용

*2년제 : 80학점 / 3년제 : 120학점

 

 

위의 1~4번 방법을 활용하여 41학점을 채우면 관련학과

졸업예정자에 해당이 되어 응시자격이 생기게 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혹여나 믿지 못하시는 분들에게 증거자료를

 

통해 믿을 만한 정보다 라고 알려드리려고 가지고온

 

법내용 중 일부를 가지고온 것이니 확인해주셔요~

 

확인하셨나요~?

 

그렇다면 이제 41학점을 어떤식으로 갖추는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드릴게요.

 

 

언제부터 시작해서 응시자격은 어느시점에 충족이

되는지 확인해보시면 놀라실거예요~ :)

 

네, 먼저 2년제 졸업자의 경우를 살펴볼게요.

 

2년제 졸업자의 경우 전적대학점을 활용하면 80학점까지

학점은행제에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학점을

채울필요 없이 41학점이 충족이 됩니다.

 

그래서 별도로 준비하실 건 없으시고 전기산업기사

공부만 바로 시작하시면 되세요. 나중에 학점등록만 하면 됩니다.

 

 

 

다음은 고등학교 졸업자의 경우 살펴보겠습니다.

 

고졸자의 경우는 총 41학점을 채우기 위해

 

- 온라인 수업 7과목 : 21학점

- 자격증(소방안전) : 20학점

 

총 41학점을 채워 응시자격을 갖추면 됩니다. 단 기간으로

준비하게 되면 4~5개월만에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년제 졸업자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4년제 졸업자의 경우 전적대 학점으로 인정받는 학점이 없습니다.

대신 106학점이 아닌 48학점만 전공학과 학점을 따면 4년제 졸업장(학위)를

받을 수 있는데요. 이 과정을 '타전공 학사학위' 라고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41학점을 따면 응시자격이 충족됩니다.

 

온라인 수업 8과목 : 24학점

자격증(매경테스트) : 18학점

 

총 42학점이 되서 시험자격이 생기게 됩니다!


 

실제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점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신 분들도 여러명 계시답니다 :)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자주 묻는 질문들을 정리하면서 마치도록 할게요~

 

 


4. 자주묻는 질문정리

 


이렇게해서 오늘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충족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떻게 도움이 되셨을까요~?

 

 

저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산업기사 & 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시려는 분들을 도와드리는 일을 하고 있어요.

 

포스팅 관련해서 궁금하신점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아래의 방법을 통해 연락주시길 바랍니다~~